오랜만에 미용실에 갔다. 무거워 보이던 머리를 가볍게 손질하고 흰머리를 가리는 염색도 했다. 거울 속의 내 모습이 아주 조금 예뻐진 것 같다. 집에 돌아와 옷장을 뒤져 평소 잘 입지 않는 단정한 재킷을 꺼내 입어본다.

"엄마 좀 봐줘. 엄마 어때?"
"응, 예뻐."


딸아이의 영혼 없는 대꾸에 속아보기로 한다. 저녁을 건너뛰고, 자기 전에 마스크 팩도 했다.

다음 날은 연중 가장 신경 쓰이는 행사 중의 하나인 학부모 공개수업일이다. 단지 아이가 수업 듣는 모습을 보러 가는 것뿐인데, 데이트하러 가는 사람처럼 외모에 신경이 쓰였다. 초4인 막내를 낳은 건 내가 마흔 살 때, 딸아이의 친구들 엄마 중에 내가 가장 나이가 많다. 혹시라도 엄마가 아니라 큰 이모처럼 보일까 봐 은근히 신경이 쓰이곤 한다.

공개수업이 시작되는 5교시 수업 시간에 맞춰 학교를 갔다. 교실 뒤편에 나처럼 한껏 멋을 낸 엄마들이 교실 뒤편에 서 있었다. 나도 그 틈에 섞여 자리를 잡고 서서 내 아이의 뒷모습을 찾아본다. 아무리 아이들이 많아도 내 아이는 딱 눈에 띈다. 잠시 후 뒤를 돌아본 아이와 반갑게 눈인사를 했다. 

수업 주제는 '친구의 고민을 듣고 상담해 주기'였다. 반 아이들 모두 자신의 고민을 종이에 적어 선생님께 드렸다. 선생님이 그중 몇 개의 고민을 뽑아 모두에게 읽어줬다. 하나의 고민이 5명 정도의 조원에게 주어지면, 그 고민을 적은 친구에게 어떤 이야기를 해주고 싶은지 앞으로 나가 발표했다. 

발표를 할 때는 고민에 대해 공감한 뒤 자신의 경험이나 해결책이 될 만한 이야기를 해주는 순서로 하라고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얘들아, 친구의 고민을 들으면 바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게 아니라, '그런 일이 있었구나, 참 힘들겠구나' 같은 말로 공감을 먼저 해 주는 게 중요해."

발표를 하는 대부분의 아이들은 1:1로 대화하는 상황이 아니어서 그런지 공감의 말은 건너뛰고, 해결책 찾기에 급급한 발표를 했다. 누가 누가 더 엉뚱한 해결책을 찾나 시합하는 듯한 분위기였다.

아이들의 모습을 보고 있으니, 지금 고3인 아들이 생각났다. 그 아이도 지금 엉뚱한 발표를 하기 위해 열을 올리는 저 아이들처럼 말이 참 많았는데, 요즘에는 뭔가 궁금해 이런저런 질문을 해도 '네, 아니오' 같은 단답형 대꾸만을 해준다. 그런 아들이 며칠 전에 내 앞에 앉아 긴 이야기를 나눈 상황이 있었다.

아이가 고등학교에 입학할 때, 학교에서 학습에 필요한 패드를 대여해 줬다. 당시 코로나 시기라 그런 정책이 있었는데, 이후 학년들에게는 패드를 대여해주지 않았다고 한다. 얼마 전에 아이가 실수로 패드를 떨어트려 액정이 깨졌다. 아이가 학교 선생님께 여쭤보니, 일단 센터에 가서 수리를 받으면 보험으로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하셨다고 한다. 아이가 직접 집 근처 서비스센터를 찾아갔고, 20만 원 정도 드는 수리 비용을 그동안 모아둔 용돈으로 냈다. 

수리를 받은 다음 날, 아이가 매우 속상한 목소리로 말했다. 

"엄마, 저 보상 못 받는대요."

보상센터에 연락해 보니 지정된 센터에서 수리를 받아야만 보험 처리가 가능하다고 했다는 것이다. 

"처음부터 자세히 좀 알아보고 하지 그랬어?"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