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아이들과 큰 서점에 들렀다. 문제집을 사기 위해서다. 올해 초등학교 3학년이 된 아이는 아직 학원을 다니지 않는다. 학교 수업과 숙제 외에는 따로 공부를 하지 않는다. 가끔 방학 때 문제집 한 권 정도를 복습 겸 푸는 게 아이가 하는 공부의 전부다. 새로운 배움에 흥미를 잃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 예습은 지양하고, 공부에 대한 압박 없이 아이를 기르고 있다.
 
그러다 학기 초에 열린 학교 총회에서 담임 선생님으로부터 3학년부터는 학교 수업만으로 부족할 수 있다는 말을 들었다. 학교에서 학(學)은 가능하지만, 습(習)까지 하기는 어렵다는 것. 특히 수학과 영어의 보충을 강조했다. 선생님의 말씀대로 습(習)을 하기 위해 몇 가지 문제집을 사러 서점으로 향했다.
 
문제집은 늘 아이가 직접 고르게 한다. 자신이 직접 선택해야 즐거움과 책임감을 가질 거라는 믿음에서다. 아이에게 문제집을 여러 권 꺼내 보여주고, 직접 풀어보고 싶은 문제집을 고르게 했다. 아이는 수학, 영어 말고도 과학 문제집에 관심을 보였다. 과학을 워낙 좋아하는 아이라, 평소 즐겨 읽는 책도 과학 분야가 많다. 아이가 원하는 대로 과학 문제집도 한 권 골라 집으로 돌아왔다.
 
문제집의 정답과 아이의 답
 
며칠 뒤 아이가 푼 과학 문제집을 채점하다 틀린 문제를 발견했다. 언뜻 보기에는 그리 어려워 보이지 않는 문제였다. 고무, 금속, 나무, 플라스틱 막대를 준비해 서로 긁어 보았을 때, 어떤 경우가 긁히는지를 고르는 문제였다. 정답은 '금속 막대로 나무 막대를 긁었을 때'인데, 아이는 '나무 막대로 플라스틱 막대를 긁었을 때'를 정답으로 골랐다.
 
아이를 불러 맞는 답을 다시 골라 보라고 말했다. 아이는 처음 고른 답을 고집했다. 학교에서 실험했을 때 분명 플라스틱 막대가 나무 막대로 긁혔다는 것이다. 아이는 예외일지라도 분명 그런 경우가 존재하는데 자신이 왜 '금속 막대로 나무 막대를 긁었을 때'만을 정답으로 골라야 하느냐고 따져 물었다. 나는 말문이 막혔다. 아이의 말이 틀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문제집은 하나의 정답만을 요구한다. 보편적으로 맞는 것을 정답으로 말해야 하는 것. 하지만 세상에는 예외가 존재한다. 아이가 실험한 도구는 꽤 오래된 것일지도 모른다. 나무 막대는 여러 아이들의 손을 거쳐가며 더 단단해졌을 수 있다. 반대로 플라스틱은 긴 세월을 지나며 작은 충격에도 쉽게 긁힐 수 있다. 이런 조건에서 실험을 했다면, 결과는 분명 보편적인 상식과는 다르게 도출될 것이다.
 
세월만 문제가 되는 건 아니다. 어떤 금속이냐, 어떤 나무이냐에 따라서도 단단한 정도는 다르다. 알루미늄의 경우 같은 금속이지만 성질이 워낙 무르기에 다른 재료가 단단하다면 긁힐 수도 있는 것.

이 같은 예외를 고려하지 않고, 하나의 정답만을 고르라고 강요하는 건 옳은 일일까. 아이는 실험 당시 선생님도 교과서와 달리 예외의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고 말했다. 그러니 자신이 쓴 답도 정답이라고 버텼다.
 
요즘 초등학교에는 공식적인 시험이 없으니 아이가 이런 문제로 불이익을 얻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중학교에 들어가면 시험이 생긴다. 서열이 없던 아이들 사이에게 등수가 매겨진다. 선배 보호자의 말에 따르면 요즘 중학교에서는 이전과 달리 서술형 평가가 많이 쓰인다고 한다. 이전처럼 단순하게 평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