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강원도 여행을 떠났다. 지금쯤 강릉 난설헌생가에는 겹벚꽃이 활짝 피었으리라. 버스로 다섯 시간을 달려 묵호에 도착했다. 끝없이 펼쳐진 동해바다를 앞마당으로 들여놓은 묵호등대 근처 숙소 주인장이 반갑게 맞아주었다. 짐을 풀고 그동안 꾹꾹 눌러 담아놓았던 그리움을 한껏 풀어내렸다. 

24일, 차를 빌려 타고 난설헌생가에 갔다. 순두부 끓이는 고소한 냄새가 퍼지는 초당마을 솔숲 속에 차를 세우고 허초희, 그녀의 흔적을 따라 들어갔다. 만개한 분홍빛 겹벚꽃으로 둘러싸인 난설헌 생가는 마치 솜씨 좋은 화가가 정성 들여 그려놓은 한 폭의 그림 같다. 집안 마당도 꽃천지로 변해 있다. 사랑채에 교산 허균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난설헌의 재주를 일찍부터 알아본 가족들

난설헌의 아버지인 초당 허엽은 슬하에 허성, 허봉, 허균, 세 아들과 딸 난설헌을 두었다. 그는 딸의 재주를 일찍부터 눈여겨보고 세 아들과 똑같이 글을 가르쳤다고 한다. 특히 둘째 오빠인 허봉은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올 때면 여동생을 위해 귀한 책을 일부러 구해오기도 하고 친구였던 손곡 이달에게 누이의 글공부를 부탁하기도 했다.

손곡 이달은 조선시대 삼당시인(三唐詩人)중의 한 사람으로 서얼 출신이다. 신분의 한계로 불우한 일생을 보낸 이달의 삶은 난설헌의 동생인 허균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고 허균은 당시로서는 개혁적인 소설 '홍길동전'을 쓰게 되었다. 
  
그는 총명하고 진취적이었으나, 이단아로 낙인찍혀 결국 역적누명을 쓰고 죽임을 당하고 만다. 그는 생전에, 불행하게 죽은 누나의 글을 모아 중국과 일본에서 난설헌시집이 발간되게 했으며 난설헌의 시가 칭송을 받게 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내외 담을 지나 안채로 들어갔다. 조선의 반가(班家)에서 볼 수 있는 내외 담은 가옥 내부를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지키며 남녀의 공간 사이에 만들어져서 남녀가 내외하도록 하는 역할을 했다. 정갈한 마당 한쪽에 모란꽃이 탐스럽게 피어있다.

난설헌 영정 앞에 섰다. 모란꽃만큼이나 고운 얼굴이 슬퍼 보이는 것은 그녀의 아픔과 고통이 내게 슬픔으로 투영된 탓일까. 가족의 사랑을 듬뿍 받으며 부족함 없이 자란 난설헌은 열다섯 살에 김성립과 혼인을 하게 된다. 불행의 시작이었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