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 지역 최초의 향토읍지인 350년 전의 운수지(雲水誌, 1675년) 원본이 이 지역의 향토역사탐구가인 김진영(임실군 오수면 동후리)씨에 의해 2023년에 발견됐다. 지역 향토사 연구에 새 기원을 열었다고 평가받았다(관련 기사: 350여년 전 주민 생활상 적힌 사료집 발견, 일반에 첫 공개 https://omn.kr/25yak).

김진영씨는 전체의 글자 수가 4만 8천 자 정도되는 운수지 서책을 수없이 탐독하면서 산천과 자연을 서술한 이 지역의 지명을 찾아 계속 답사하며 확인해 왔다. 

그는 운수지(1675년)에 신덕면에 '웅치(熊峙, 곰재')라는 고개 이름이 나오는데 현재 신덕면에 '웅치'라는 지명은 없으므로, 웅치를 찾아 신덕면의 여러 고개를 오르내리면서 마을 주민들의 이야기를 들었단다.

운수지(1675년)의 웅치 서술 내용

熊峙 在縣西五十五里 (웅치 재현서오십오리)
新德面 梁鉢里 西北 接完山界 (신덕면 양발리 서북 접완산계)
自大火來峙 爲完任踰越之嶺 (자대화래치 위완임유월지령)

웅치는 (운수)현의 서쪽 22km 거리에 위치한다.
신덕면 양발리 서북으로 완산과 경계를 맞댄다.
대화치로부터 이어져 온 고개이며 완산과 임실은 넘나드는 고개가 된다.

 
절기는 분명 봄날인데 때로는 한여름 같은 날씨이고, 산록에는 연두색 나뭇잎이 어느새 부쩍 돋아나 있는 4월 중순. 김진영씨의 안내를 받으며 웅치 고개를 찾아 탐방하였다. 그는 호남정맥의 임실 치마산(馳馬山, 568.1)과 완주 오봉산(五峰山, 513m) 사이에 있는 박죽이산(520m) 왼쪽 고개인 소금바위재(鹽巖峙, 염암재, 310m)가 웅치(곰재)로 추정된다고 했다. 

임실 신덕면 내량마을에서 1km쯤 농로와 임도를 따라 웅치로 추정되는 소금바위재에 이르니 고갯마루에 서낭당 돌탑 흔적이 남아 있었다. 이 고개에서 건너편으로 서쪽으로 내려가면 완주 구이면 계곡리 염암마을에 이르는데, 고개를 내려가는 중간에 소금바위(염암)이라는 큰 바위가 있다는 것이다.

이 바위에서 소금바위재라는 고개 이름으로 불렸다고 한다. 그런데 고갯마루에서 염암마을로 내려가는 고갯길은 지워지고 없었다. 구태여 험한 수풀을 헤치고 내려갈 수도 있었지만, 위험한 일이었다.
 
신덕면 외량마을에서 박죽이산의 옆 능선을 따라 구불구불 2차선 도로를 달려서, 소금바위가 있는 구이 계곡리 염암마을을 찾아갔다. 시대가 변하여 문경새재도 장성갈재도 본래 길의 목적을 잃고 관광자원으로 변하는 현실이다. 지금은 잊힌 소금바위재 고갯길도 옛날에는 어엿하게 전라감영이나 한양으로 가는 길이었다. 

조선 시대에 한양에서 전국으로 뻗은 10대 간선도로망이 있었다. 한양에서 호남 지역으로 방향을 잡은 도로망은 삼남대로와 통영별로였다. 삼남대로는 영산기맥의 안부인 장설 갈재를 넘어 목포로 이어지고 제주까지 갈 수 있었다. 통영별로는 호남정맥인 슬치를 넘어 남원을 거쳐 수군통제영의 거점인 통영으로 이어졌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