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 자란 나는 어렸을 때 이해가 안 되는 어른들의 세상이 있었다. 학교나 책과는 다르게 돌아가는 세상 속에서 나는 고개를 갸우뚱거리는 아이였다. 그중에 하나가 동네 어른들에게 "삼촌"이라고 부르는 것이었다.    

학교에서 배운 '삼촌'은 아버지의 형제들, 혹은 어머니의 형제들이다. 이모나 고모도 모두 삼촌이지만 부모님의 남자형제들을 삼촌이라고 부른다. 삼촌은 친가이고 외삼촌은 외가다. 나는 할머니도 성할머니와 외할머니를 구분해서 불렀다.

외할머니는 "그냥 할머니라고 하면 어디가 덧나는지 꼭 외자를 붙인다"며 섭섭해하셨다. 하지만 그건 나름대로 나만의 방식으로 구분하는 기준이었다.

엄마는 만나는 사람마다 "삼촌"이라고 했다. 심부름을 시킬 때는 "춘희삼촌한테 갔다 오라", "이거 권희삼촌한테 갖다 주라"라고 말했다. 이해가 안 됐다. 부모님과 성이 다른데 어떻게 삼촌이 되지? 용납을 할 수 없었다.

엄마는 나이가 든 어른들은 다 삼촌이라고 불렀다. 아는 사람이던 모르는 사람이던, 성별을 따지지 않고 모두 삼촌이었다. 그리고 어린 나에게도 동네 어른들을 "삼촌"이라고 소개했다.

혼란스러웠다. 그럼 진짜 삼촌에게는 어떡하지?

친척이 아니라도 삼촌이라고 부르는 동네에서 나는 '진짜 친적'을 가려내야 했다. 아빠의 여동생은 고모, 아빠의 남동생은 작은 아빠라고 불렀다. 엄마의 남동생 2명은  큰외삼촌과 꼬마삼촌이라고 했다.

나름대로 이름 뒤에 삼촌을 붙인 건 동네 삼촌들이고, 그냥 삼촌이라고 부르면 모르는 사람을 부르는 거였다. 그렇게 정리했다.

성인이 되고 나서야 "삼촌"이라고 부르는 것이 제주도만의 특색이라는 것을 알았다.

식당에서, 과일가게 주인을, 버스 옆자리에 앉은 처음 보는 할머니에게 "삼촌"이라고 부른다. 진짜 삼촌도 삼촌이고, 모르는 사람도 삼촌이다. 여자삼촌도 삼촌이고, 남자어른도 삼촌이다. 

제주도 남자와 결혼 뒤 마주친 또 다른 낯선 단어 

그런데 결혼 뒤 만난 상황.

느닷없이 '형님'들이 나타난 것이다. 각 잡고 인사하며 "형님"을 외치는 검은 양복사람들 밖에 몰랐던 나는 결혼과 동시에 많은 형님들을 모시게 됐다. 그중에 제일은 큰 아주버님의 부인. 즉 남편의 큰형수이자 나의 큰 형님이었다.

충성을 맹세해야 한다는 걸 본능적으로 알았다. 지금은 자연스럽게 형님, 형님, 하고 부르고 있지만 결혼 초반에는 그 소리를 못해서 힘들었다. 
 
남편의 집안에서는 해마다 봄, 가을에 묘제를 지낸다. 며칠 전엔 종친회에 속한 부녀회원들이 제사음식을 준비했다. 우리 집에서는 시어머니와 큰 형님이 대표로 갔다. 큰 형님은 어머니를 모시고 하루종일 음식을 만들었다. 
전체 내용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