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주 전에 집안 선산에 있는 아버지 산소에 다녀왔다. 아버지는 1986년 봄, 내가 열두 살 되던 해에 돌아가셨다. 벌써 40년이 다 돼가는 일이다. 아버지 기일에는 해마다 친정집에서 제사를 지냈는데, 몇 해 전부터 제사를 지내지 않고 다 함께 산소를 찾아간다.

마침 날씨도 좋을 때라 소풍 가듯 음식을 싸들고 가서 잡초를 뽑고, 절을 했다. 산소 주변에 예쁘게 핀 제비꽃을 따서 내가 어릴 때 했던 것처럼 반지를 만들어 딸아이의 손가락에 끼워줬다. 돗자리를 깔고 앉아 엄마가 챙겨 온 과일과 떡을 먹으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눴다. 엄마와 언니, 나, 남동생 부부와 아이들 일곱 명이 모여 시끌벅적했다. 고요한 산속에 홀로 계신 아버지가 그날만큼은 심심하지 않으셨을 것 같다.
 
언니 시댁 어르신의 묘를 이장해야 하는 상황이 생겨, 납골당과 수목장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다. 언니가 납골당을 알아봤는데 층마다 금액이 다르다고 한다. 우리가 사는 아파트는 높을수록 비싸지는데, 납골당은 눈높이 정도의 위치가 가장 비싸고, 바닥이나 천장과 가까운 곳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고 한다. 사람이 죽어서 가는 집조차 빈부격차가 있다는 게 씁쓸한 기분이 들었다.

"수목장은 어때? 난 수목장이 괜찮을 것 같던데."

나는 평소 납골당이 아파트 같아 보였고, 죽어서까지 답답한 공간에 갇혀 있고 싶지 않다는 생각을 했다. 반면, 수목장은 나무뿌리 주위에 골분을 묻어주는 방법으로 내 육신이 자연으로 다시 되돌아가는 느낌이 들어 좋아 보였다.

영정사진을 미리 찍은 시어머니

내가 납골당과 수목장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본 건, 얼마 전 시어머니와 나눈 대화 때문이었다. 시댁을 갔더니 어머니가 영정 사진을 찍어 벽에 걸어두셨다. 뭐 하러 저런 사진을 벌써 찍었느냐는 남편의 말에 어머니는 "한 살이라도 젊을 때 찍어둬야 너희들이 날 예쁘게 기억해 줄 거 아니니?"라고 웃으면서 말씀하셨다.

평소 심장질환이 있으셨던 어머니는 자신에게 갑자기 죽음이 닥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셨던 것 같다. 그래서 영정사진을 미리 찍어두고, 진료받으러 다니시는 모 대학병원에 시신을 기증하겠다는 서약을 하셨다며 증서를 보여주셨다.

남편이 펄쩍 뛰었다.

전체 내용보기